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oracle
- X11 forwarding
- 티베로
- Python
- 파이썬
- vm tac 구성
- DDL 추출
- VM 설정
- 코딩테스트
- 암시적 커서
- tas tac
- Tuple
- Linux
- VMware
- X11
- db
- CentOS
- 리눅스
- tac
- 코테
- tibero
- OPEN CURSOR
- implicit
- tablespace
- terraform
- golang
- vm
- python3.7
- 프로그래머스
- 묵시적 커서
Archives
- Today
- Total
줄기세포
[Linux] O_DIRECT / O_SYNC란? 본문
I/O 종류
- OS의 Buffer를 거치지 않고 Disk 바로 반영하는 Direct I/O(O_DIRECT)
- OS Buffer를 거쳐 Disk에 Write하는 Buffered I/O
- Buffered I/O는 동기화 방식에 따라 두가지로 분류
- 동기식 I/O (synchronized I/O) → 바로 Disk에 반영 (O_SYNC)
- 비동기식 I/O(Asynchronized I/O) → 특정 스케쥴에 따라 반영
동기화 방식에 대한 플래그
- flag란 file descriptor의 접근 방식에 대한 정의 정도로 외운다.
동기식 I/O (synchronized I/O)
- O_SYNC write 직후 메타데이터와 데이터를 동기화한다.
- O_DSYNC는 write 직후 데이터만 동기화 한다.
- read 호출은 특별한 옵션이 없어도 항상 동기화 됨.
- O_RSYNC는 Read() 호출이 반환되기 전에 메타데이터와 데이터를 디스크
- POSIX에서 제공하는 표준 플래그는 O_SYNC, O_DSYNC, O_RYNC 이다.
- 리눅스 커널 2.4 이상부터는 O_DIRECT라는 플래그를 지원한다.
참조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RAID 구조[1] - RAID0, 1, 5, 1+0 (0) | 2022.08.16 |
---|---|
[Linux] ssh key로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 (0) | 2022.07.29 |
[Linux] grep 여러개 한번에 조회하기 (0) | 2022.06.14 |
[Linux] Disk 성능 측정 - fio 로 IOPS 측정 (0) | 2022.02.11 |
[Linux] 파티셔닝 및 마운트 (fdisk, lvm, mkfs) (0) | 2021.12.13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