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tablespace
- 묵시적 커서
- VM 설정
- terraform
- 프로그래머스
- OPEN CURSOR
- 코테
- golang
- tac
- X11
- 코딩테스트
- X11 forwarding
- 파이썬
- CentOS
- Tuple
- 티베로
- vm
- tas tac
- oracle
- 리눅스
- python3.7
- VMware
- db
- implicit
- Python
- Linux
- vm tac 구성
- DDL 추출
- tibero
- 암시적 커서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744 (1)
줄기세포

chmod 란? 리눅스 OS 내에 파일 및 폴더에 대한 퍼미션(permission) 혹은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이다. permission을 알려면 자리별 의미를 알아야 한다. 조회하면 총 10자리가 나온다 각 자리별로 나타내는 퍼미션이 다르다. d/rwx/r-x/r-x 폴더/ 소유자/ 그룹/ 그 외 유저 폴더여부 / r는 읽기 / w는 쓰기 / x는 실행 각 자리는 3가지 비트로 이루어져있는데 rwx/---/---, r는 4, w는 2, x는 1을 의미한다. (총 합은 7) chmod 로 권한을 부여하는 방법은 숫자로 주는 방법과 문자로 주는 방법이 있다. 1. 숫자로 부여 방법 $ chmod 777 /testfolder drwxrwxrwx $ chmod 744 testfile -rwxr--r-- 2. ..
Linux
2021. 6. 7. 17:11